CAFE24에서 Tomcat JSP 호스팅 서버에서 이메일 계정을 추가하고,
네이버에서 외부 메일을 가져오는 방법입니다.
예전에 누군가 도메인으로 이메일주소를 만들어서 구글을 통해서 이메일을 받아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고 말해준 적이 있었다.
그때는 그런게 포워딩이라는 것도 모르고 있었는데.
오늘에서야.. 그것이 "포워딩"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메일 "포워딩"이란 수신된 메일을 다른 도메인으로 된 이메일 계정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워딩"이라고 합니다.
CAFE24에서의 계정을 네이버에서 외부메일로 사용하는 방법은
몇번의 검색만으로도 쉽게 설명하는 글들이 많이 나오지만, 나는 아래처럼...
" 가져올 외부계정의 POP3 설정이 잘못되었거나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된 경우 외부메일 계정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정보를 확인하신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 라는 알림만 계속 나왔다...
여러 글을 대충 보다가 연결포트의 내용이 나왔다...나와 같은 문제로 문의까지해서 해결방법을 찾으신분의 글을 보고 따라서 진행했더니 성공할 수 있었다..
1. CAFE24에서 이메일 계정 추가하기
호스팅 관리의 "이메일계정 추가/삭제"에서 "신규계정추가"를 선택하여 계정을 추가합니다.
POP3/SMTP 서버 주소를 네이버에서 외부메일을 가져올때 입력해야 하니 복사합니다.
2. 네이버에서 외부메일 가져오기
네이버메일에서 좌측메뉴에서 "외부메일 가져오기" 의 설정 버튼을 클릭한다.
3. SMTP 설정
외무메일 가져오기에서 상단의 "POP3/IMAP 설정"을 클릭
POP3/SMTP 설정, IMAP/SMTP 설정 모두 사용함으로 변경합니다.
4. 외부 메일 가져오기
계정 선택에 CAFE24에서 복사하 POP3/SMTP 서버 주소를 입력합니다.
메일에는 CAFE24에서 추가했던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해줍니다.
포트번호는 110을 입력하고,
외부 메일 자동으로 가져오기를 선택한뒤 저장합니다.
다른사이트에서 직접 cafe24에 추가한 계정에 이메일을 보내서
테스트를 몇번해봤는데 이메일을 가져오는데 약 10분정도가 소유되는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아마도 연결포트의 번호인것 같습니다..
POP3와 IMAP를 설정하면서 하단에 나오는 포트번호를 다 넣어봤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잘 설명이 되어 있는 글을 찾은 덕분에 해결 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큰 도움을 준 블로그의 글입니다.
네이버 외부 메일가져오기, cafe24 이메일 계정추가
cafe24에서 이메일 계정 추가를 누르고 =>여기서 자신의 도메인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지 "...
blog.naver.com
'Web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오류 상세 로그 확인하기 / Filezilla,cafe24 (0) | 2022.03.08 |
---|---|
이클립스 깃허브 로그인 Can't connect to any URI: //GitHub 토큰 인증 로그인 (0) | 2021.11.08 |
The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0) | 2021.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