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Web Programming93 입력창에 정해진 자릿수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음으로 이동 / maxlength 입력시 .next().focus() html 부분 ... script 부분 "inputs" 클래스명을 가진 input에서 4번째 문자를 keyup(입력이 끝나는 순간) 실행된다. 현재 입력하고 있는 input의 값의 길이가 maxlength 길이와 같다면 현재 입력하고 있는 input의 다음 input으로 focus한다. 전체코드 2021. 6. 4. 클라이언트(Client) 클라이언트(Client)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있는 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컴퓨터를 의미해요 . 때문에 컴퓨터를 하고있는 사용자 또한 클라이언트라고 포괄적으로 이야기를 하기도 한답니다 . 하지만 정확하게 파고 들자면, 서버로 부터 정보제공을 받고있는 컴퓨터 라는것! 클라이언트 뜻 알아보자 클라이언트 뜻 알아보자 '오늘 클라이언트랑 카페에서 미팅있어' '게임 클라이언트 설치했... blog.naver.com 2021. 6. 3. Servlet (서블릿) 서블릿이란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입니다. 그런데 좀더 들어가서 설명하면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릅니다. 그때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다음 페이지를 띄워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서블릿(Servlet)입니다. 그래서 서블릿은 자바로 구현 된 *CGI라고 흔히 말합니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란? CGI는 특별한 라이브러리나 도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별도로 제작된 웹서버와 프로그램간의 교환방식입니다... 2021. 6. 3. Servlet / Web.xml 에서 controller 연결 Web.xml 이란? Web Application의 배포 서술자(DD, Deployment Descriptor)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관련 설정을 위해 작성하는 파일이고, WEB-INF/web.xml 파일에 위치하고, 서블릿과 JSP를 어떻게 실행하느냐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다. DD는 Tomcat 서버를 가동할 때 읽혀진다. web.xml의 시작과 종료를 한다. apiBoard 애플리케이션의 표시이름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이클립스에서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명이 설정되며, 필요하다면 수정 가능하다. index.html index.htm index.jsp default.html default.htm default.jsp 는 웹 서버 URL경로로 처음 들어왔을 때 클라이언트에 처음으로 노출되는 파일들을 .. 2021. 6. 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