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 클라이언트(Client) 클라이언트(Client)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있는 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컴퓨터를 의미해요 . 때문에 컴퓨터를 하고있는 사용자 또한 클라이언트라고 포괄적으로 이야기를 하기도 한답니다 . 하지만 정확하게 파고 들자면, 서버로 부터 정보제공을 받고있는 컴퓨터 라는것! 클라이언트 뜻 알아보자 클라이언트 뜻 알아보자 '오늘 클라이언트랑 카페에서 미팅있어' '게임 클라이언트 설치했... blog.naver.com 2021. 6. 3. Servlet (서블릿) 서블릿이란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입니다. 그런데 좀더 들어가서 설명하면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릅니다. 그때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다음 페이지를 띄워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서블릿(Servlet)입니다. 그래서 서블릿은 자바로 구현 된 *CGI라고 흔히 말합니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란? CGI는 특별한 라이브러리나 도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별도로 제작된 웹서버와 프로그램간의 교환방식입니다... 2021. 6. 3. Servlet / Web.xml 에서 controller 연결 Web.xml 이란? Web Application의 배포 서술자(DD, Deployment Descriptor)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관련 설정을 위해 작성하는 파일이고, WEB-INF/web.xml 파일에 위치하고, 서블릿과 JSP를 어떻게 실행하느냐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다. DD는 Tomcat 서버를 가동할 때 읽혀진다. web.xml의 시작과 종료를 한다. apiBoard 애플리케이션의 표시이름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이클립스에서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명이 설정되며, 필요하다면 수정 가능하다. index.html index.htm index.jsp default.html default.htm default.jsp 는 웹 서버 URL경로로 처음 들어왔을 때 클라이언트에 처음으로 노출되는 파일들을 .. 2021. 6. 3. ERD ( Entity Relation Diagram ) ERD(Entity Relation Diagram) 개체관계모뎅링(Entity Relation Modelling) ERM 프로세스의 산출물을 가리켜ERD 라고 한다. 개체-관계도 이다. 테이블의 구조와 테이블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다이어그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존재하는 데이터와 그들 간의 관계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 개념적 모델링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업무의 핵심적인 개념을 구분하고 전체적인 뼈대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개체(Entity)를 추출하고 개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ER다이어그램을 만드는 과정까지를 말합니다 논리적 모델링 개념적 모델링에서 만든 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려는 DBMS에 맞게 사상(Mapping)하여 실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하기 위.. 2021. 6. 3.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8 다음 728x90 반응형